[희망뉴스]“대법관 국민선출제”로 사법부 개혁 논의 박차…직선제 도입 가능할까?

“대법관 국민선출제” 개혁 논의가 사법부 민주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헌법 개정, 블록체인 투표, 후보 자격 요건 등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분석이 이어집니다.

[희망뉴스]“대법관 국민선출제”로 사법부 개혁 논의 박차…직선제 도입 가능할까?
Photo by Tingey Injury Law Firm / Unsplash

[희망뉴스]

최근 사법개혁의 핵심 이슈로 떠오른 “대법관 국민선출제”가 주목받고 있다. 국민이 직접 대법관을 선출해 사법부에 대한 신뢰와 민주적 정당성을 높이자는 취지다. 다만, 헌법 개정이 필수적이고 사회적 합의가 선행되어야 하는 사안이기에 실현까지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 현행 임명 방식에 대한 비판…국민 의사 반영 부족
사법부 대법관 임명 절차가 그간 국민의 뜻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대법관 직선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판결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거론된다. 입법·행정부가 아닌 국민이 직접 투표로 대법관을 선출함으로써 사법부의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 헌법 개정·법률 정비 필수…장기적 로드맵 필요
이 제도를 도입하려면 헌법 제104조를 개정해 ‘대법관은 국민이 직접 선출한다’는 내용을 명시해야 한다. 헌법 개정은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와 국민투표라는 복잡한 절차가 필요해, 충분한 여론 형성이 필수적이다.
이어 법원조직법, 공직선거법 등의 제·개정을 통해 구체적인 선거 방식, 후보자 자격 요건, 임기와 재임 규정 등을 정비해야 한다. 법조 경력 15년 이상이라는 자격을 두되, 다양한 법률 전문 분야 출신에게 폭넓은 기회를 부여하는 식의 방향성이 논의되고 있다.

◇ 사법부 독립·다양성 확보…후보 평가와 선거운동 금지
사법부 독립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지키기 위해 ‘후보 평가’와 ‘선거운동 규제’도 핵심 의제로 떠오른다. 중립적인 기관이 후보자의 판결 이력, 학계 연구 실적, 전문성 등을 객관적으로 정리해 유권자에게 제공하자는 것이다.
또한 정치적 쟁점화를 막기 위해 후보자의 직접 선거운동을 엄격히 금지하고, 과열 방지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는다. 이를 통해 법원 내 다양성을 확보하면서도 “정치적 영향력”이 지나치게 개입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투명성·보안성 강화…블록체인 기반 투표 도입 검토
이번 논의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블록체인 기반 전자 투표 방식의 도입 가능성이다. 전자투표를 통해 투표 과정을 간소화하고, 블록체인 기술로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투표 결과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막대한 비용, 기술적 안정성, 해킹 방지 대책, 투표 접근성 등 현실적인 문제도 함께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공정성을 확보하면서도 국민이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범 운영과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 해외 사례와의 비교…사법 민주주의 진화 가능성
해외 일부 지역에서도 법관 직선제를 부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그 성과와 부작용은 엇갈린다. 직선제가 가져오는 판결의 책임성과 투명성, 사법부 구성의 다원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반면, 선거 과정에서의 정치화와 과도한 선거 비용 문제 등이 꾸준히 지적돼 왔다.
국내에서도 이를 단순히 도입하기보다는, 재판의 독립성과 책임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정치화 가능성을 최소화할 제도적 장치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 공론화·시민참여·장기적 평가 필수…향후 전망은?
대법관 국민선출제와 관련해 정치권, 학계, 시민사회 각계에서는 ‘공론화’를 통해 논의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국회 공청회와 시민배심원단, 시민참여형 토론회 등을 운영해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헌법 개정안 마련과 함께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도입에 성공한다면 사법부가 국민적 지지를 바탕으로 더 높은 신뢰를 얻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반면, “과도한 정치화와 선거비용을 우려하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반대론도 적지 않다. 결과적으로 실제 실행 여부와 시기는 사회적 여론 추이, 정치권의 합의 수준, 그리고 공론화 과정의 성패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 이 기사는 대법관 국민선출제를 희망하는 가상의 상황을 다룬 기사 형식의 보도입니다.

[뉴스블로그온]